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증여세 면제한도 총정리

by infovortex-1 2025. 9. 7.

증여세 면제한도 총정리

가족 간에 재산을 증여받을 때 무조건 세금을 내야 할까요?
사실 증여세는 일정 금액까지는 면제됩니다. 오늘은 증여세 면제한도 기준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총정리


세금을 아끼는 가장 확실한 방법, 바로 면제한도 활용입니다.

 

 

증여세 면제한도란?

증여세는 타인에게 재산을 무상으로 받을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하지만 국세청에서 정한 일정 금액까지는 비과세(세금 면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이 범위를 증여세 면제한도라고 부릅니다.

 

세금 내지 않고 합법적으로 증여할 수 있는 한도가 있습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기준

1. 배우자 간 증여

  • 10년간 6억 원까지 면제
  • 부부 사이 재산 이전 시 활용 가능

예를 들어, 남편이 아내에게 5억 원을 증여하면 세금 없음.

 

 

2. 직계존비속 간 증여

부모 → 자녀, 조부모 → 손자녀 등 직계 간 증여는 나이와 관계없이 구분됩니다.

  • 성인 자녀 (만 19세 이상): 10년간 5천만 원까지 면제
  • 미성년 자녀 (만 19세 미만): 10년간 2천만 원까지 면제

 따라서 부모가 자녀에게 5천만 원을 주면, 세금 없이 증여 가능.

3. 기타 친족 증여

  • 기타 친족 (형제·자매·사촌 등): 10년간 1천만 원까지 면제

 형제자매 간 증여는 금액이 작으므로 주의 필요.

 

 

10년 합산 규정

증여세 면제한도는 10년 단위로 합산됩니다.
즉, 10년 안에 받은 증여 금액을 합산해 계산하고, 초과분에 대해서만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10년이 지나면 다시 새로운 면제한도가 부여됩니다.

 

 

증여세 신고 필요 여부

  • 면제한도 이내 증여: 원칙적으로 세금 없음
  • 단, 신고는 권장 (추후 세무상 문제 방지)
  • 한도를 초과할 경우, 초과분에 대해서만 세금 부과

세율은 초과금액 구간에 따라 10% ~ 최대 50%까지 적용됩니다.

 

 

활용 전략 예시

  • 부모가 성인 자녀에게 10년마다 5천만 원씩 증여 → 장기적으로 수억 원 절세 가능
  • 배우자 증여 6억 활용 → 부부 공동 자산 형성에 유리
  • 미성년 자녀는 2천만 원까지만 가능하니, 교육비·생활비 성격으로 활용

 

마무리

증여세 면제한도는 세법에서 보장하는 합법적인 절세 방법입니다.
배우자, 자녀, 친족 간 증여 시 면제한도를 반드시 확인하고, 10년 단위로 나누어 증여하면 훨씬 유리합니다.